알고리즘/자료구조 - Quick Sort(퀵 정렬)
내가 이해한 퀵 정렬 배열을 하나의 기준점(pivot)을 두고 배열을 분할하여 분할된 배열 각각의 크기를 비교한 다음 정렬하는 것 기준점을 두고 그 기준점을 기준으로 크고 작음을 비교하는 알고리즘 아닌가 싶음 def quick_sort(arr): if len(arr) pivot: more_arr.append(num) else: same_arr.append(num) return quick_sort(less_arr) + same_arr + quick_sort(more_arr) arr = [4,6,9,8,7,5,3,2,1] print(quick_sort(arr)) #[1,2,3,4,5,6,7,8,9] 자세한 내용은 이 블로그 참조 [알고리즘] 퀵 정렬 - Quick Sort (Python, Java) Engi..
2021. 10. 22. 12:53
알고리즘/자료구조 - Array(배열) 알아보기
배열 / Array 데이터 나열과 각 데이터를 인덱스에 대응하도록 만든 데이터 구조(파이썬은 list type이 배열 제공) 배열을 쓰는 이유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 장 단점 접근이 빠르다. Insert, Delete가 어렵다. / 길이를 지정해줘야한다. 배열 구현 (파이썬) # 1차원 배열 array = [1,2,3,4,5,6] print(array) # [1,2,3,4,5,6] # 2차원 배열 2nd_array = [[1,2,3],[4,5,6],[7,8,9]] print(2nd_array) # [[1,2,3],[4,5,6],[7,8,9]] print(2nd_array[0]) # [1,2,3] print(2nd_arr..
2021. 10. 18. 23:40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