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모리의 구조?
- 메모리는 총 4가지의 영역을 가지고 low부터 high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낮은 순부터 이야기 하자면 코드, 데이터, 힙, 스택 4가지 영역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코드 영역은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 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며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할당되고 종료 시 소멸됩니다.
- 힙 영역은 메모리가 할당되고 해제되는 영역이고 malloc을 하면 힙 영역에 메모리가 쌓입니다.
- 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고 호출 완료 시 소멸됩니다.
가상메모리?
- 가상 메모리는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 프로세스마다 충분한 메모리를 할당하기에 물리 메모리의 한계가 있어서 나타난 개념입니다.
- 사용하는 부분만 메모리에 올리고 나머지는 디스크에 보관하는 기법을 가상 메모리라고 합니다.
- 가상메모리에서 프로세스는 가상 주소를 사용하고 실제 해당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때 물리주소로 바꿔 사용하는데 MMU를 통해 CPU에서 코드를 실행 시 가상 메모리 접근이 필요할 때 해당 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 시킨다.
반응형
'Dev DBAN > 개발 용어 핥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용어 핥아보기 - 레디스(Redis) 알고 쓰기 (0) | 2022.01.30 |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2.01.13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데드락 (0) | 2022.01.10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멀티 스레딩과 멀티 프로세싱 (0) | 2021.12.29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프로세스와 스레드 (0) | 202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