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드락이란?
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해 다음 작업을 못하는 상태를 일컬은 말입니다.
한정된 자원을 여러 곳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
발생 조건
- 발생 조건으로는 한 자원에 대한 여러 프로세스 접근 불가 상태인 상호배제
- 자원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의 반납을 기다리는 점유와 대기
-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강제로 가져올 수 없는 비선점
- 각 프로세스가 순환적으로 다음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자원을 가지고 오는 환형 대기
해결방법
- 데드락 발생 조건 중 하나라도 해결하면 데드락이 걸리지 않으므로 데드락 발생 조건 중 하나를 제거하는 예방법
- 자원 할당 그래프, 은행원 알고리즘을 사용해 데드락을 회피하는 방법
- 데드락 발생 시 이후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데드락 상태보다 해결이 더 큰 비용이 들 경우 무시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반응형
'Dev DBAN > 개발 용어 핥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용어 핥아보기 - 메모리 구조와 가상 메모리 (0) | 2022.01.14 |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2.01.13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멀티 스레딩과 멀티 프로세싱 (0) | 2021.12.29 |
개발 용어 핥아보기 - 프로세스와 스레드 (0) | 2021.12.28 |
개발 용어 핥아 보기 - TCP와 UDP 간단 정리 (0) | 2021.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