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 DBAN/개발 용어 핥아보기

개발 용어 핥아 보기 - OSI 7계층?

by 디반 2021. 12. 22. 18:42
반응형

OSI 7 Layer Model

OSI 7계층에 대해 정리해보자!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송매체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기능을 함
리피터, 허브, 케이블, 이더넷, UTP, STP 케이블

 

2. Data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의 오류 문제 해결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
순서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화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역할
데이터 전송 단위를 패킷으로 부르며 송신 호스트의 주소와 목적지 호스트 주소가 포함되어 있음
라우터에 패킷이 도착하면 알맞은 라우터로 중개해 최종목적지로 도착시킨다
라우터가 자신이 관리하는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해 중개함
인터넷의 IP 주소

 

4.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라우터와 같은 노드와는 상관 없이 단대단 (컴퓨터와 컴퓨터)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기능 제공
단대단 오류 복구, 흐름 제어 기능
PDU에는 송신측 포트 번호와 수신측 포트 번호를 포함
포트번호는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사용되는 번호
TCP UDP

 

5. Session Layer (세션 계층)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 제공
대화를 위해 세션을 설정함
대화 형태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복구 : 체크포인트 기능 제공 (오류 검출용)

 

6.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표현] 계층)

데이터의 표현방법과 의미를 다룸
데이터를 표준화 할 수 있는 인코딩과 디코딩을 하는 기능을 가짐
암호화나 압축 기능을 제공

 

7.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응용] 계층)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
FTAM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와 유사
VT 가상 단말 서비스 프로토콜 인터넷의 TELNET

 


 

반응형

댓글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