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 DBAN/개발 일기

개발일기 - 첫 프로젝트 완성 / Review

by 디반 2021. 10. 28. 11:23
반응형

프로젝트 소개

3 Line News

최근 동향을 인터넷 뉴스로 확인하는 사람들을 위한 3줄 요약 뉴스 요약 서비스

누구나 손 쉽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REST API 형태로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

🗓️ 작업기간 : 2021.09.28 ~ 2021.10.26

👨‍💻 투입인원 : 1명

📒 주요업무

  • 기획 및 개발
  • 개발환경 구축(Gitlab CI/CD, AWS EC2, Uvicorn 서버)
  • REST API개발
  • DB 설계 및 구축

🌱 스킬 및 사용툴

python FastAPI DataGrip AWS EC2 Git/Github MySQL

🙇‍♂️느낀점

내가 만든 업무 자동화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시작한 API 개발 프로젝트

  1.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시간
    • 포트 포워딩에 대한 개념을 익히면서 같이 배우게 된 VPN,라우터/스위치,NAT과 브릿지 등 다양한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들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NAT과 포트포워딩
  2. 트러블 슈팅을 직접 경험해본 값진 시간
    • 처음 해보는 프로젝트다 보니 생소한 부분과 어렵다고 느껴진 부분들이 많았지만 문제가 발생 했을 때 어떤 절차를 가지고 문제 해결을 하는지 직접 해보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 트러블슈팅 과정
  3. AWS EC2를 이용해 서버를 만들어 운용할 수 있는 시간
  4. - 모든게 처음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떻게 만들어야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관리를 해야되는지 어려웠지만 현재는 외부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되는지 가용 램을 벗어나지 않도록 리소스를 관리하는 법 등 새로운 배움을 얻었습니다. - [나의 첫 리눅스 AWS EC2 서버 구축기](https://mumin-blog.tistory.com/299?category=827534)
  5.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의 중요성을 몸소 깨달은 시간
    • 나만 알아볼 수 있는 표현 방식이 아니라 어느 누구나 스키마에 대해 알고있는 사람이라면 공통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그리는 방법을 익힐 수 있게 되었고 내가 필요한 스키마가 무엇인지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6. 예외처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시간
    • 프로그램에 에러가 발생 했을 시 예외처리를 하지 않아 죽어 버리는 현상을 겪으면서 예외처리를 공부하게 되었고 이를 코드에 적용 시키니 에러가 발생 해도 예외처리를 통해 코드가 죽지 않고 계속 돌아간다는 것을 배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 Try Except Else Finally 예외처리

 

 

GitHub - DBAN99/fastapi

Contribute to DBAN99/fastap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다음 프로젝트는 장고를 이용한 웹페이지를 제작해 나만의 블로그를 한 번 만들어볼 예정입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다시 찾아 오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


"); wcs_do();